대화는 헤르메네이아(ἑρμηνεία). 해석의 본질은 대화란 소리입니다. 하나님과 대화의 단절을 ‘죄’라 부르며 그 대화의 복원을 우리가 ‘구원’이라 이름 붙인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이를 가리켜 방언에 대한 ‘통역’이라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곳의 콘텐츠는
성경과 해석이 주된 구성을 이루고 있습니다만, 성경에 관해서만 다루는 것은 아닙니다. 성경 중심 세계관 안에서 다양한 사물을 해석 대상으로 놓습니다. 정치, 사회, 문화, 철학, 어떤 주제를 다루든 성경 텍스트에 내재한 세계관을 지향합니다. 모든 피조 사물과 성경의 지평융합을 통해 그 사물에 덧씌운 비늘을 벗겨내고 피조된 본질을 밝히는 원리에 관심 있는 분들 환영합니다.
원어 학습
기독교인의 지향성은 언어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세상 구조가 언어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독교 교사에게 성서 원어 학습이 중요합니다. 블로그에는 헬라어와 히브리어 기초 학습에 유용한 자료와 동영상 강의를, 게시판에는 다소 깊은 주제를 모아 두었습니다.
해석학
해석의 대상이나 매개는 다양합니다. 최근 대중적으로 영화나 예술 작품이 해석의 대상으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지엽적인 매개일 뿐 근본적으로 해석이란 사물과의 대화일 것입니다. 그래서 세속적인 의미로는 주술이며, 신성한 의미로는 하나님과의 회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교회
많은 사람이 성경을 믿고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교회만큼은 용서하지 못해 혐오의 대상입니다. 그러나 교회가 아니고서는 누구도 하나님 형상에 다다를 수 없습니다. (성경) ‘해석’만으론 천국 못 가고, 신앙이 있어야 하는데 교회가 신앙의 실체인 동시에 그리스도의 몸인 까닭입니다.
상징이란 무엇인가?

파워바이블 주석 프로젝트
그리고 ‘파워바이블’이라는 이름으로 주석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 중입니다. 파워바이블은 본래 프로그램 이름이었습니다. 오래전에 개발해 배포하다 중단했던 것을 온라인 기능 사이트로 복원해냈습니다. 빠르고 간편한 검색 그리고 원어 조회할 수 있는 기능성 사이트입니다. 주석 프로젝트는 이 프로그램 복원에 맞추어 시작한 프로그램입니다. 진행 상황은 자료실-기초히브리어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고 파워바이블 웹 사이트는 이곳입니다.

해석자: 이영진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우리는 흙을 통해 흙을, 물을 통해 물을, 공기를 통해 신성한 공기를, 불을 통해 파괴적인 불을, 그리고 미움을 통해 쓰라린 미움을 본다.”
주요 저서
- 2017 -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 (홍성사)
- 2016 -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사용설명서 (샘솟는 기쁨)
- 2015 -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 (홍성사)
- 2013 - 자본적 교회 (대장간)
번역서
- 2020 - 크리스티안 베커의 하나님의 승리 (성서와교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