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주제에는 0개 답변, 1명 참여가 있으며 mimoon8 년, 11 월 전에 전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
1 글 보임 - 1 에서 1 까지 (총 1 중에서)
  • 글쓴이
  • #2335
    mimoon
    키 마스터

      《몽타주》해제 #12. 의심(Descartes)과 회의(Sceptics)가 진화론을 출산하는 장면

      데카르트는 인간을 ‘사유’와 ‘연장’이라는 두 개념으로 이원화 시켰다.

      사유는 ‘의심하고 있는 나’요ㅡ

      연장이란 ‘빈 공간인 나’로서 일종의 원소 개념이다.

      (* 원자: 새우깡 낱알, | 원소: 새우깡 봉지)

      결론적으로 이것은 인간을 ‘현상학적 존재’로 규정하는 단초가 되어,

      당신은 사랑 받기 위해 태어난 게 아니라,
      어쩌다 생겨난 존재라는 모든 근대 사조의 기틀이 된 것이다.

      이러한 틀의 세계관에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유전(의 법칙)’에 대한 관찰 말고는 관심의 트랜드가 없게 된 것이다.

      믿음이 머에요? 전통(유전)
      소망이 머에요? 전통(유전)
      사랑이 머에요? 전통(유전)

      믿음, 소망, 사랑이 부족한 저 인종은 머에요?

      미개인.
      정복해도 괜찮은 미개인.

      침략자들이 고대로부터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때부터의 침략자들에게는 한 손에 다윈의 진화론이 쥐어지게 된 것이다.

      위 과정 중에 정신사를 유전, 전통, 관습으로 읽어나가는 사조를 skepticism 즉, 회의주의라고 부른다.

      여기에 제동을 건 사람이 임마누엘 칸트이다.

    1 글 보임 - 1 에서 1 까지 (총 1 중에서)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