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91명의 독자가 공감하셨습니다  

 
 
이글은 요한복음 15장 1-8절에 관한 해제이다. 우리는 흔히 “예수님은 포도나무요, 우리는 가지…” 하면 으레 당연한 관계 정도로 지나치지만 그것은 단순한 윤리적 구문이 아니라 매우 미스틱(mythic) 한 개념에서 들여온 비유이기에 세밀한 읽기가 요구된다. 요한복음에서 자주 반복해서 언급되는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에 대한 해제로 첨부된 본문이기 때문이다.

Christ_the_True_Vine_icon_(Athens,_16th_century)
16 century Eastern Orthodox icon of Jesus Christ as the True Vine. Byzantine & Christian Museum, Athens, Greece.

16세기에 위 도상과 같이 이해했던 해당 본문을 구조화 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절 이하와 5절 이하는 같은 내용의 반복 같지만 약간 다르다.

요한복음-참포도나무15001001001001
요 15:1-8은 쌍으로 되어 있다.

1) 우선 εγώ(나는)는 같지만 참 포도나무와 (그냥) 포도나무이다.
2) 과실 맺는 가지는 본래 아버지가 깨끗게 하는데 너희는 이미 내 말로 깨끗게 되었다(3절).
3) 과실은 절로 맺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지가 중요)
4) 내 아버지는 그냥 농부가 아니고 ‘그’ 농부이다.
5)  ‘그 농부’와 댓구 격인 5절의 ‘가지’는 ‘이 사람’이다. 좌측에서는 줄곧 ‘너희’.
6) 그리고 좌측에서 제하는 이는 아버지였는데, 우측에서는 사람들이 모아다가 불에 던져 버린다.
7) 좌측에서 과실이 절로 맺었지만, 우측에서는 떨어진 가지가 절로 모인다(사람들이 모았으니까).

좌측과 우측은 어떻게 다른가?
한 마디로 이것은 앞선 14장 20절에 대한 보충이다.

“그 날에는 내가 아버지 안에, 너희가 내 안에, 내가 너희 안에 있는 것을 너희가 알리라”(요 14:20)

즉 (1)‘내가 아버지 안에’, (2)‘너희가 내 안에’, (3)‘내가 너희 안에’에 이르는 구조에 대한 설명인 셈이다.
그래서 이 하이라키의 가장 처음인 참 포도나무에서 가지를 제하는 것은 아버지께서 직접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우측에서는 이미 그 날이 임한 것일까? 그냥 포도나무만 계시다. 이제 우리만 남겨진 듯하다.
그것은 14장 18절에 상응한 것이다.

“내가 너희를 고아와 같이 버려 두지 아니하고 너희에게로 오리라”(요 14:18)

그래서 우측에서는 너희 안에 거하는 것도 내가 아닌 내 말이다(7절). (좌측에서는 ‘내가’ 너희 안에 있었음)
결국 지금 우리 안에 맺힌 그 분의 상(像)은 말(Logos)인 것이다.

(위의 16세기 비잔틴 정교회 이콘화도 좌측의 도상에 해당하는 셈이다.)

궁극적으로 이 모든 것은 예수님이 승귀하시고 남겨진 오늘날에는 (아버지가 아닌) 사람들이 우리를 모아서 불에 던지는 현상에 대한 이유이기도 하다.
떨어져나간 가지들은 저 밖에 있는 사람들이(아버지가 아닌) 모아다가 불에 갖다 던져 넣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풀어서 주해를 한다면 다음과 같다.

성서는 우리를 포도나무의 가지라고 이르면서 포도나무에 붙어있어야지 떨어져 있으면 열매도 못 맺고 버리어 말라져 불사르게 된다고 말하였다.
그렇다면 가지가 붙어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이냐?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 라고 하였다.
이것이 가지가 붙어 있는 방법이다.

그렇다면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는 어떻게 해야 성립하는 것인가?
우리는 단지 ‘믿으면’ 가능하다고 여겼지 “저가 내 안에, 내가 저 안에” 있는 상태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넘겨짚었다. 가지가 붙어 있게 되는 그 명확한 ‘상태’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우리에게는 아버지와 어머니 상(像)이 기본적으로 내재되어 있게 마련이다. 그것은 굳이 심리학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엄연한 이치이다. 아울러 내재된 그 상은 비록 후천적이기는 하나 반드시 우리 자아의 형성뿐 아니라 삶의 반경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대개의 사람들은 자기 부모에 대해 미화하거나 그나마 미화할 것도 없으면 그분들에 대해 입을 다물게 마련이다. 자기 부모를 미화했다고 좋은 영향만 받는 것이 아니며 얘깃거리 삼을 만한 미담이 없다 해서 자기들마저 그런 부모가 되는 것도 아니다.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생애의 주기를 넘기고 넘기다보면 원하든 원치 않던 내 안에 분명 그들이 – 모상(母像)과 부상(父像)으로 – 들어 있다는 사실의 발견이다.

인류는 그런 넝쿨 속에서 도태되기도 개량되기도 하면서 개인과 집단을 영위해왔다.

예수께서 “나는 참 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그 농부라”고 하셨을 때 ‘포도나무와 농부’의 관계를 ‘아버지와 아들’ 관계로 표현한 것은 그 같은 상의 유전과 복잡한 ‘넝쿨’의 속성 때문일 것이다.

‘넝쿨’은 ‘관계’이다.

특별히 우리를 그 ‘가지’라고 지칭하였다.
이는 예수를 참 포도나무로 하는 새로운 넝쿨 관계로의 가입을 촉구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유일한 구원의 지평이기도 하다.

우리 안의 그들을 떠올려보자.
부자 아버지? 하해와 같은 어머니?
인자한 아버지? 무한한 대지와도 같은 어머니?

과연 우리에게 내재된 이들, 모상과 부상을 기준으로 구원의 도가 성립된다고 했다면 어쩔 뻔 하였나?
예수께서는 우리에게 자기 안에 거하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그것은 예수 자신이 하신 ‘말’이 우리 안에 있을 때에 성립된다고 하셨다.

그러면 또 물을 수도 있겠다.
“‘말’이 우리 안에 들어 있다는 것은 어떤 것을 말합니까?”

그러면 또 다시 당신 안에 들어 있는 아버지를 혹은 어머니를 떠올리라.
그렇게 들어가는 것이다.

본문의 표현인 바, 깨끗함 받지 못한(아마 거듭남일 것이다) 사람은 대부분 자기 육친의 아버지와 어머니처럼 행동하게 되어 있다.
변변한 부모면 자랑스러움으로, 변변치 못한 부모면 부끄러움으로 상(像)을 맺는다.

그것이 죄악은 아니다.
다만 그렇게 해서 말라가고, 사람들이 그걸 모아다가 불을 떼고 마는 것이다(요 15:6).

이것이 요한복음 15장 1-8절의 줄거리이다.

* 2015.5.3. | 부활절 후 제5주차 | 나도 너희 안에, 너희 안에 내 말이 | 성서일과: 요한복음 15:1~8. (cf. 행 8:26~40; 시 22:25~31; 요일 4:7~21.).

 
 


YOUNG JIN LEE李榮振 | Rev., Ph. D. in Theology. | Twtr |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 파워바이블 개발자 | 저서: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 (2017), 영혼사용설명서 (2016),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 (2015), 자본적 교회 (2013), 요한복음 파라독스 (2011). 논문: 해체시대의 이후의 새교회 새목회 (2013), 새시대·새교회·새목회의 대상 (2011), 성서신학 방법에 관한 논고 (2011). 번역서: 크리스티안 베커의 하나님의 승리 (2020). | FB | Twtr | 개인블로그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