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 명사의 정복은 연계형이라는 명사 형식을 얼마만큼 이해하고 파악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연계형이 명사 문법의 가장 궁극적인 것이기도 합니다. 기초부터 하나 하나 이어가보겠습니다.

1. 히브리어 명사의 핵심사항은 무엇인가

명사(名詞)는 문자 그대로 이름을 가지고 있는 사물/사람을 가리키는 형식입니다. 통상 영어를 배울 땐 일반명사니, 고유명사니, 물질명사니, 집합명사니.., 명사의 종류에 관해 집중하셨을 것입니다만, 히브리어에서 명사는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성(여성인지 남성인지), 수(단수인지 복수인지), 격(주격인지 소유격인지 따위)의 패턴을 이해하고 숙달하는 것이 중점 공략 사항입니다.

히브리어 명사는 다음 세 가지를 타고납니다. 성(여성/남성), 수(단수/복수/쌍수), 그리고 소유격입니다. 그리스어와는 달리 중성은 없습니다. 그리스어와는 달리 쌍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리스어에 5개의 격이 있는 것과는 달리 ‘소유격’만 있습니다. 바로 이 소유격 형식을 연계형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히브리어 명사는 이 세 가지 형식을 별도의 보조어 없이, 단지 어미 또는 모음부호만을 가지고 구현하니 어려움이 있는 겁니다. 그래서 그 패턴을 익히는 것이 이 챕터에서 할 일입니다.

먼저 기본 패턴은 이렇습니다.

2. 명사 변화표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명사 기본 변화표

1) 상기의 변화(표)가 명사에 있어서 기본 변화입니다. 각 단어의 검은색 철자 부분은 남성 명사 단수와 모양이 일치합니다. ‘말’(horse)을 뜻하는 이 수스(סוּס)를 원형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사전에서 단어 찾을 때도 이 모양 가지고 찾습니다.

2) 그렇다면 검은색 부분을 제외한 빨간색 철자 및 부호를 그 명사의 성(남성인지 여성인지)과 수(단수인지 복수인지)의 표식으로 보면 되겠죠? 이제 연습할 일은 저 검은색 철자 부분의 단어 원형이 다른 어떤 단어로 바뀌든 명사의 성과 수를 읽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빨간 부분이 일종의 규칙변화니까요.

3) 하지만 이런 의문을 먼저 가지셔야 합니다. 그럼 히브리어 명사는 모조리 다 (그 한 단어가) 저 표에서 처럼 남성도 되고 여성도 된다는 것이냐? 그렇지 않습니다. 다음 몇 가지를 알아두십시오.

…회원 또는 후원 구독자 회원에게 공개된 콘텐츠입니다. 콘텐츠에 따라 회원가입만으로도 접근 가능한 경우가 있고 후원 구독자로 기한 약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로그인 후 확인하십시오. 콘텐츠 공개 정책 보기.

[yj_show_content role=”customer,contributor,administrator”]

(1) 히브리어는 중성은 없고 여성과 남성만 있다고 앞서 일러 두었습니다.
(2) 중성은 없고 남성과 여성만 있다는 것은 그 명사가 ‘남성 명사’냐 ‘여성 명사’냐 성을 이미 타고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위의 수스(סוּס) 같은 경우는 남성 명사에 여성형을 입힐 수 있는 것입니다. ‘암컷인 말’(mare)도 있으니까요. (이러한 대응된 반대의 성을 counterpart라 합니다.) 따라서 이런 성의 변화는 주로 동물이나 사람에 해당하는 명사에 적용되겠죠. 이를 테면 선지자 나비(נָבִיא)는 남성이지만, 위의 도표와 같은 어미에 의거해 네비아(נְבִיאָה)가 됨으로써 여성 선지자가 됩니다. 복수로 네비임(נְבִיאִים‎)은 ‘남성 선지자들’, 네비오트(נְבִיאוֹת)는 ‘여성 선지자들’입니다. 남성 죄수(אָסִיר) 또는 죄수들(אֲסִירִים)도 같은 방식으로 여성 죄수(אֲסִירָה) 또는 여성 죄수들(אֲסִירוּת)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들(בֵּן)은 남성 명사일 뿐입니다. 반면, 돌(אֶבֶן)은 여성 명사이며, 별(כּוֹכָב)은 남성 명사입니다. 돌이나 별에 반대성(counterpart)이 필요할 일은 없겠죠?

4) 남성, 여성 명사 구별법
기왕 알아두는 김에 남성과 여성 명사의 대략적인 구별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대략적이라 함은 어떤 규칙이든 100% 규칙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먼저 남성 명사는 사실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문법 교재들은 여성 명사를 파악함으로써 남성 명사를 구별해내는 방식을 선호하는데, 대개 ה나  ת로 끝나는 명사는 여성 명사라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어미 형식은 여성 명사의 표지인 셈입니다. 여성 명사만 알면 나머지 명사들은 여성 명사가 아닌 것이겠죠? 단, 이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머니를 뜻하는 엠(אֵם), 암나귀를 뜻하는 아톤(אָתוֹן)처럼 ה나  ת로 끝나지 않았어도 여성 명사인 경우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나안(כְּנַעַן)이나 예루살렘(יְרוּשָׁלַיִם)은 고유명사이면서 여성 명사이기도 합니다. 국가나 도시를 어머니 성으로 보는 고대 관습 때문일 것입니다.

5) 쌍수
그리고 하나만 더! 히브리어에는 쌍수가 있다 했죠. 위 표에서도 나오죠. ‘귀’(אָזְנַיִם), ‘눈’(עֵינַיִם)과 같은 (쌍으로 된) 신체기관에 쓰이는 형식입니다. 쌍수의 어미는 יִם_(파다+요드+히렉+멤)입니다. 쌍수로 된 신체는 대개 여성입니다.  하지만 주의할 것은 가령 ‘귀―’라고 했을 때 ‘아쩨나임’(אָזְנַיִם)이라는 쌍수로만 존재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단수로서의 ‘귀’인 오쩬(אֹזֶן)이 따로 있습니다. 눈/ 에이나임(עֵינַיִם)의 단수 아인(עַיִן)도 있지요. 손을 뜻하는 ‘야드’(יָד), 발을 뜻하는 ‘레겔’(רֶגֶל)도 마찬가지로 단수입니다. 이들은 다 여성 명사이며, 머리(ראֹשׁ)와 입(פֶּה) 같이 쌍이 아닌 신체는 남성 명사입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고유명사 예루살렘(יְרוּשָׁלַיִם)은 쌍수가 아님에도 쌍수 형태를 취하기도 했습니다. 외우지 마시고 이해된 만큼만 기억하십시오.

※ 이상 기본 구성을 잘 숙지하십시오.

※ 다른 것은 외우지 마시고 저 변화표의 빨간 철자 부분 곧 규칙적인 변화만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제 연계형 즉, 히브리어 명사의 소유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 히브리어 명사의 연계형 기본 개념

엄밀한 의미에서 히브리어에는 소유격이 없습니다. 소유격을 배울 것이라면서 소유격이 없다니?

일반적인 문법상의 소유격보다 포괄적 관계이기 때문에 그 관계를 연계형(또는 구성형)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그럼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절대형과 연계형 (Absolute state, Construct state)

히브리어에서는 두 개의 명사를 가지고 소유관계를 나타낼 때는 지배하는 명사(possesing noun)가 소유격이 되는 게 아니라 지배를 받는 명사(possessed noun)를 단축시켜 소유자에 의존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뭔말이냐.

이를 테면, 한글로 ‘하나님의 말씀’이라 하잖습니까? 영어로는 ‘Word of God’이구요. 이때 ‘소유격’에 해당하는 단어는 ‘하나님의~’ 또는 ‘~of God’입니다. 그런데 히브리어에서는 ‘~의 말씀’으로 소유를 표현합니다. ‘Word of~’와 같은 방식으로 소유를 표현하는 것이죠.

이때 바로, ‘말씀’ / ‘Word’가 연계형이 되는 것입니다.
나머지인 ‘하나님’과 ‘God’은 자동적으로 절대형이고요.

즉, 다시말하면 지배 받는 명사(Word)를 연계형이라 부르고, 의존되거나 종속되지 않고 지배하는 명사(하나님)를 절대형(또는 독립형) 명사라 부르는 것입니다.

Ex. 하나님의 말씀
–> 하나님(절대형)+ 의 말씀(구성형)

자, 그러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는 지 보겠습니다.

4. 연계형 명사 기본 변화표

명사 연계형 표

1) 이 연계형 변화표에서 보면 앞서 명사 기본 변화표가 절대형으로 위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기본 변화는 곧 절대형이라 보면 무리가 없겠지요.

2) 그리고 남성형에서 연계형은 복수에서만 변화를 일으킵니다. 쌍수는 복수와 같고요.

3) 여성형에서 연계형은 단수와 쌍수만 변합니다. 쉽지요?

4) 그렇지만 이것으로 연계형이 끝이 아닙니다. 대개의 문법 교재는 상기의 표로써 간단하게 소개하고 지나가지만 연계형의 변화 모습에는 좀더 세밀한 규칙이 있습니다. 그 규칙을 어느 정도는 숙지해야 비로소 성서에 나타난 명사들의 형태를 세밀하게 해독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5. 연계형의 다양한 기본 규칙들

(* 아래 내용은 Gary D. Pratico의 Basic of Biblical Hebrew를 재구성)

다시 말하면 상기의 연계형 변화표는 다음에 열거하는 다양한 규칙들의 한 부분에 해당한다―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1) 우선 모음이 단축되는 경향성부터 파악합시다.

연계형 명사의 모음 부호는 그 길이가 장-→단으로 바뀝니다. ‘모음의 길이가 바뀐다’는 게 뭘까요? 지난 시간에 히브리어 모음 중에 장모음과 단모음을 배운 것이 기억나실 겁니다. 장모음에는 ‘ㅜ’(아/ 카마쯔)와 ‘..’(에/ 제이레이)와 ‘ ˙ ’(오/ 홀람)이 있었잖습니까? 이 세 가지가 다음 단모음 ‘―’(아/ 파타), ‘∵’(에/ 쎄골), ‘.’(이/ 히릭), ‘ㅜ’(오/ 카마츠 하투프), ‘ ֻ ’(우/ 키부츠)으로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주된 악센트를 잃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다음 네 가지 규칙은 명사가 어떤 명사인지 구별할 어미가 없는 남성 또는 여성 명사에 적용되는 규칙입니다.

(1) 마지막 폐음절에서 장모음 ㅜ(카마쯔)는 단모음 ―(파타흐)로 변함.

. מִשְׁפָּט(심판) —> מִשְׁפַּט(~의 재판)
. מִדְבָּר(광야) —> מִדְבַּר(~의 광야)
. מַלְאָך(천사) —> מַלְאַךְ(~의 천사)
(쩨이레이 또한 마지막 닫힌 음절에 오는 경우 파타흐로 변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מִזְבֵּחַ/제단 —> מִּזְבַּח/~의 제단으로 변화)

(2) 연계형 구문에서 카마쯔나 쩨이레이가 단어의 첫 음절에 오면서 열린 음절인 경우나 악센트를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유음 슈바로 변함.

. נָבִיא(선지자) –> נְבִיא(~의 선지자)
. שָׁלוֹם(평화) —> שְׁלוֹמ(~의 평화)
. מָקוֹם(장소) —> מְקוֹם(~의 장소)

(3) 상기에 나오는 두 규칙은 연계형이 되면서 일어난 모음 부호 변화입니다. 다시 말해 첫 음절이나 두 번째 음절이나 모음이 짧아진 것입니다. 다음 예시 중에서 마지막 단어를 유의하십시오. חָצֵר(하체르)는 처음 문자가 후음 문자이기 때문에 유음 슈바를 가질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바람에 유음 슈바가 하투프 파타흐로 변한 예외입니다.

. דָּבָר(말씀) —> דְּבַר (~의 말씀)
. לֵבָר(마음) —> לְבַר (~의 마음)
. קָהָל(총회) —> קְהַל (~의 총회)
. זָקֵן(장로) —> זְקַן (~의 장로)
. חָצֵר(법정) —> חֲצַר (~의 법정)

(4) כֹּל(콜/ 모두)과 בֵּן(벤/ 아들)은 각각 4,469회 4,556회나 나올 정도로 연계형으로 자주 나오는 명사입니다(성경 전체 연계형의 20%). 이 단음절 명사들 역시 연계형으로 쓰일 때는 다른 명사들과 마찬가지로 첫 문자 장모음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 בֵּן(아들) —> בֶּן (~의 아들)
. כֹּל(모두) —> כָּל (~의 모두)
. יָד(손) —-> יַד (~의 손)

 
※ 여기까지 뭐다? (첫 음절이나 두 번째 음절) 모음이 짧아지는 경향이다!
 

2) 복수 명사의 연계형 (※상기 표 참조)

(1) 남성 복수 어미가 ים. 과 쌍수 복수 ים._은 연계형으로 쓰일 때 어미는 י.. 로 바뀝니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가 일어날 때 앞에서 설명한 규칙 1)-(2)가 적용됩니다. (이 규칙을 보면 상기 4. 연계형 기본 변화표에서 남성 복/쌍수 연계형이 왜 그렇게 변화되었는지와 맞물려 들어갑니다.)

연계형 남성 복수 예시

(2) 마찬가지로 וֹת로 끝나는 여성 복수 명사가 연계형으로 쓰일 때 자음 문자는 변하지 않습니다. 연계형으로 변화할 때 규칙 1)-(2)가 역시 적용됩니다.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이 규칙을 보면 상기 4. 연계형 기본 변화표에서 여성 복수 연계형이 왜 그렇게 변화되었는지와 맞물려 들어갑니다. 단, 인접 모음부호의 영향과 변화만 차이가 있습니다.)

연계형 여성 복수 예제

3) 단수 명사의 연계형

아울러 הㅜ로 끝나는 여성 단수 명사가 연계형으로 쓰일 때 הㅜ는 ה_로 바뀝니다. 그리고 규칙 1)-(2)가 적용됩니다. (이 또한 4. 연계형 기본 변화표에서 여성 단수 연계형 참조.)

연계형 여성 단수 예제

4) 단음절로 된 단수 명사 연계형 중 어근에 히릭 요오드(י.)를 첨가하는 것도 있습니다. 그리고 대명사 접미사를 명사 뒤에 첨가할 때도 똑같은 변화가 일어납니다(대명사 접미사는 추후 학습). 이때 히릭 요오드를 대명사 접미사 1인칭 단수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연계형 단음절 단수 예제

5) 이중 모음을 가진 명사가 연계형으로 쓰일 때 자주 일어나는 변화가 있습니다. 이에 속하는 두 단어가 있는데 그것은 בַּיִת(집)와 עַיִן(눈, 샘)입니다. 연계형이 될 때 이중 모음 י..(쩨이레이 요오드) 로 바뀝니다(파타 히릭 요오드/י._ 에서 쩨이레이 요오드/ י..로). 이러한 명사의 연계형은 독립형이나 사전에 나오는 형태보다 훨씬 더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어를 암기할 때 연계형과 독립형을 함께 암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 나오는 어휘 목록에서 두 가지 형태를 모두 볼 수 있을 것이다.


6) 이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단수 연계형의 모양이 사전에 수록된 어휘와는 다른 것입니다. (연계형이 사전과 동일한 경우는 סוּס/말 또는 ~의 말, קוֹל/음성 또는 ~의 음성 그리고 מֶלֶך/왕 또는 ~의 왕 같은 어휘들이 있습니다.) 그러한 차이는 연계형 명사의 악센트를 다음 단어에게 넘겨주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연계형 구문상에서 마지막에 나오는 독립형 명사만이 주 악센트를 가지며 나머지 연계된 명사들은 뒤따르는 단어에 후접되어 한 단어처럼 발음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연계형 구문에서 연계형으로 쓰일 때 명사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은 명사가 대명사 접미사를 취할 때 일어나는 변화와 비슷합니다. 연계형이 사전에 나오는 형태와 동일한 명사가 비교적 있지만 이를 기억하면 연계형으로 변화된 명사의 독립형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7) 그외 연계형을 수식하는 형용사도 연계형과 절대형 사이에 끼일수 없고 절대형 뒤로 가는 문제, 연계형은 관사를 취하지 못하므로 절대형에 의해 한정되는 문제, 고유명사일때는 자동적으로 한정되는 문제 땅위는 나중에 살피기로 하겠습니다.

8) 끝으로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자료 중에 아래와 같이 독립형-연계형 모음이 있어 올려봅니다. 퀴즈로 각 경우를 파싱해보시면 좋을 것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동영상 강의를 보면서 잘 정리해보시기 바랍니다.


[/yj_show_content]

YOUNG JIN LEE李榮振 | Rev., Ph. D. in Theology. | Twtr |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 파워바이블 개발자 | 저서: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 (2017), 영혼사용설명서 (2016),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 (2015), 자본적 교회 (2013), 요한복음 파라독스 (2011). 논문: 해체시대의 이후의 새교회 새목회 (2013), 새시대·새교회·새목회의 대상 (2011), 성서신학 방법에 관한 논고 (2011). 번역서: 크리스티안 베커의 하나님의 승리 (2020). | FB | Twtr | 개인블로그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