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이 지난 해 5월 25일에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이래 지난 1월 6일자에 골든 글로브상에서 최우수 외국어영화상을 또 수상했기에 이 영화에 관해 몇 자 요약해 남긴다.
우선 이 영화는 자본에 대한 극한 혐오를 내용으로 안고 있지만 그 누구보다 자본을 과시하는 영화다. 처음 개봉 당시 칸 영화제 수상일자가 5월 25일인데, 국내 개봉은 5월 30일이다. 상 받은 영화니까 입다물고 알아서들 봐라 이거냐? 봉준호보다 시나리오를 잘 다루는 작시가들은 국내 얼마든지 많지만 요즘 한국 영화는 이와 같이 해외 시상을 제작 단계에서부터 기획한다.
그러고는 그 비용을 국내 관객에게 청구하는 구조이다. 그래서 해외에서는 한국 <기생충>이라고 귀여움을 받았을지 모르지만 이런 비평도 한 번 들어보시길.
이 영화의 지배 윤리는 ‘선을 넘지 말라’는 금제에 대한 극도의 혐오이다. 즉 ‘선을 넘어라’인 것이다. 그래서 말인데 지금부터 <기생충>에 나타난 봉준호의 세계관을 원하는 대로 ‘선을 넘어서’ 열어 보여드리겠다.
봉준호의 포르노그라피
통상 범주론에 있어 동양적 세계관을 시간-역사적 범주(temporal-historical categories)라 하고 서구의 세계관은 공간-수직적 범주(spatial-vertical categories)라고들 하는데, 봉준호의 포르노그라피는 이 두 개가 엉겨 붙어 있다.
왜 그럴까. 흔히 서양의 에로티시즘은 형체(shape)와 면적이 충분해서 그런지 운동력으로 자극을 하는 반면, 공간적으로나 면적으로나 그렇지 못한 동양의 에로티시즘은 평면적일 뿐 아니라, 그래서 관계성에 호소하여 독자/관객을 자극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일본이다. 공간적이거나 운동력에 호소하기보다는 관계나 심리의 설정을 통한 청자의 연상을 자극한다.
…일반 회원 구독자에게 공개된 콘텐츠입니다. 후원 구독자가 아니어도 회원가입만으로도 접근 가능합니다. 이미 회원이신 분은 로그인 하십시오. 후원 구독자로 기한 약정을 하시면 더 폭넓은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공개 정책 보기.
This content only allowed by Contributors or Subscribers. You are a(n) anonymous. Please be a contributors or sponsor through do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