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93명의 독자가 공감하셨습니다  

 
 
이 글은「총.균.쇠」라는 문화인류학 명저가 일반 기독교인이 읽기에는 두 가지 강력한 장애 즉 진화론적 전제와 학문적 난제를 안고 있음에도 반드시 탐독할 가치가 있음을 알리고자 작성하였다.

 

프롤로그.

영화 장고에서 백인 농장주가 장고 일행에게 소장하던 해골을 꺼내와 세 개의 홈을 짚어 보이며 골상학적으로 흑인에게는 본질적인 노예근성이 있다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노예로 잡힌 아내를 빼내려는 장고의 계략을 눈치 채고 자기 집안에 충직했던 흑인 집사 벤의 해골을 톱으로 썰며 겁주는 장면이다. (이 영화에서 장고는 흑인이다.)

골상학이란 중세 이후 사람들이 인간 사고와 행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뇌라는 사실을 파악하자 두개골의 형태나 생김새로 사람의 성격과 심성, 심지어 운명까지도 추정하던 학문이다.

이 책 도입부에서 소개한 대로 저자의 흑인 원주민 친구 얄리로부터 “왜 우리 흑인은 백인들처럼 그런 화물(문명의 이기들)을 만들지 못한 겁니까?”라는 질문을 직접 듣는다면 우리 독자는 어떤 답변을 떠올릴까. 두개골의 생김새가 달라서…라고 생각한다면 그는 골상학을 믿는 사람일 것이고, 복을 받지 못해서…라고 생각한다면 틀림없이 그는 한국 기독교인 일 것이다.

저자는 이에 답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1) 진화론 털고 가기

아직도 진화란 ‘없는 것!’ 하고 단정부터 짓는 기독교인이라면 대개 원숭이에서 사람으로 변하는 삽화 정도를 떠올리게 마련이지만, 저자 다이아몬드가 서론에서 언급한 ‘멸종하지 않고 남아있는 유인원 친척 세 종’(고릴라, 침팬지, 인간)이라는 표현은 두 가지 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적어도 사람을 고릴라나 침팬지와는 다르다고 분류한 점, 그러면서도 인류를 한 종에서 나왔다고 보는 점. 이 두 축이 만드는 좌표는 적어도 처음 사람이 우리처럼 스마트폰 쓰는 현대인이었다고 우기지 않는 한, 인류의 기원을 수백만 년 전으로 보는 진화론일지언정, 성서는 상충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 다음으로 이 책에서 거치적거리는 진화론은 인류의 확산 시기이다.

나는 어린 시절 창세기를 읽으며 의문 한 가지가 있었다. 첫 사람들은 대체 어떻게 끊어진 저편 대륙으로 건널 수 있었을까? 성서적 문명의 성원들이 도저히 아메리카 대륙에 당도할 만한 기술이 없었을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어린 마음에도 성서적 연대기를 의식한 나머지 지리학 정보는 기피해야겠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이 책은 인류가 베링 해협을 통과해 아메리카 대륙에 첫 발을 들여 놓은 시기를 BC 12000년 정도로 확정 짓고 – 특히 저자는 배를 타고 건넜을 것이라는 사실을 강하게 추인한다 – 인류의 이동 경로와 시기에 관해서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단정적 술회를 한다. 학계에서도 논란이 되는 부분이지만, 참고로 우리네 창조과학회는 그곳에서 훨씬 이전 연대의 유인원 유골이 많이 발견된다는 자료를 써서 이 진화론적 연대기를 배격해내고 있다. (모든 유골은 그러니까 원숭이 거라는 식.)

하지만 이 책의 저자 다이아몬드는 단호하다. 인류가 단 한번 밖에 발생한 적이 없다는 사실에 단호하며, 그들의 이주와 확산 궤적에 무엇보다 단호하다. 그것이 바로 연대기의 정밀성보다 중요한 책의 본말이며, 규명해나가야 할 주된 내용인 까닭이다. 이 책은 고고학 책이 아닌 것이다. 간혹 우리 중에도 성서를 고고학 전서처럼 손에 꼭 쥐고서 고고학과 싸움을 벌이려는 태도를 가진 기독교인이 있는데 이점을 숙고해 진화론 콤플렉스를 털어낼 필요가 있다.

(2) 총.균.쇠. 중에서 주인공은 균

…회원 또는 후원 구독자 회원에게 공개된 콘텐츠입니다. 콘텐츠에 따라 회원가입만으로도 접근 가능한 경우가 있고 후원 구독자로 기한 약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로그인 후 확인하십시오. 콘텐츠 공개 정책 보기.



This content only allowed by Contributors or Subscribers. You are a(n) anonymous. Please be a contributors or sponsor through donation.



YOUNG JIN LEE李榮振 | Rev., Ph. D. in Theology. | Twtr |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 파워바이블 개발자 | 저서: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 (2017), 영혼사용설명서 (2016),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 (2015), 자본적 교회 (2013), 요한복음 파라독스 (2011). 논문: 해체시대의 이후의 새교회 새목회 (2013), 새시대·새교회·새목회의 대상 (2011), 성서신학 방법에 관한 논고 (2011). 번역서: 크리스티안 베커의 하나님의 승리 (2020). | FB | Twtr | 개인블로그

“「총.균.쇠」를 기독교인이 읽는 요령”에 대한 2개의 생각

  1. "…이와 같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침탈 과정뿐 아니라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 침탈 과정, 그리고 동아시아 민족들의 침탈 과정 등을 위의 도식에 맞춰 전개함으로써 오늘 날에도 흔적으로 남아있는 ‘지배와 피지배의 인종적 현상’은 결코 인종이 아닌 환경의 문제라는 테제를 완성해낸다…."

    제가 성격이 급하고 게을러서….. 남들이 정리해 놓은 요점정리만 소옥… 빼먹기를 좋아하는데… 이 명저"Guns, Germs, and Steel"의 결론을 환경 한 마디로 이해 하였습니다…. 이번 기회에 한번 영어 공부할 겸 읽어 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