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오르던 산 속 나무숲이 마치 정글처럼 보여 자세히 들여다보니 나무마다 넝쿨들이 휘감아 있다. 저렇게 높은 길이를 지난 몇 달 새 다 휘감아 올라갔다. 기둥이 되어 준 나무라는 식물도 그렇지만, 한해살이에 불과한 저 식물들의 흡입력이 더 놀랍다. 여러 해가 아닌 단 몇 달 새에 자신의 키를 다 흡입한 것이 아니겠는가.

비록 식물이지만 이들에게 프쉬케가 없는 게 아니다. 프쉬케의 가장 기본 능력인 섭생능력을 토대로 살아간다. 생명흡입, 섭생능력 곧, 영양섭취의 힘은 아래로부터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인가 위에서 빨아당기는 힘인가? 그러면 이들의 영혼은 뿌리인가 아니면 그 줄기와 잎의 끝인가? 또한, 그런 점에서 이들의 영혼은 부분인가 전체인가?
죽은 것에는 흡입력이 없다. 공기도 물도 들이마시지 못한다. 죽은 나무와 풀에 흡수되는 물은 스며드는 것이지 섭취된 것이 아니다. 아무리 많이 스며들어도 그것은 썩을 것이다. 이것으로 생명을 판단한다.
우리 신체의 영혼의 힘은 끌어당기는 힘인가, 밀어 올리는 힘인가? 넝쿨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부분인가 전체인가? 심장과 압력이라고 말하겠지. 압력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호흡, 곧 영양섭취로서 프쉬케의 힘이 근원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예컨대 기독교 정체성 속에 행해지는 금식은 신에게 부려보는 투쟁도 아니고 극기와 맞바꿔 얻어내는 마술의 힘도 아니며, 그것은 바로 가장 기본이 되는 그 섭생의 프쉬케를 불러 깨우는 노력인 것이며, 그 프쉬케가 대기 중에 흩어진 프뉴마(바람)와의 운동일 때 의미가 있다. 이 유일한 운동력이 아니면 어떻게 (1) 풀고, (2) 끌러주고, (3) 자유케 하고, (4) 꺾는 모션을 불러일으키겠는가?
“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 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 주며 압제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에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사 58:6)
따라서 우리가 굶을 때 – 그것은 의도적인 단식일 수도, 가난함의 주림일 수도 있지만 – 우리는 죽음과 거의 동시에 생명의 힘을 체험한다. 혀의 감각에서 비롯되는 시장기와는 다른 영혼으로부터 밀어 올리고, 끌어당기는 허기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얻어먹을 수 있는 힘만 있어도 그것은 주님의 은총이라”는 통찰은 지당한 것이다. 이 섭생이 영성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관문과도 같은 영혼의 ‘부분’이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에게 친근한 허기는 영양의 굶주림이라기보다는 감각 혼, 즉 탐욕의 허기에 더 가깝다는데 문제가 있다.

“넝쿨이 빨아당기는 힘”에 대한 2개의 생각

  1. 프쉬케에 관하여서는 고대로부터 견해가 분분합니다만, 4-5원소 중 하나인 공기 없이 존재할 수 있는 생물이 있다면 모르겠으나 일단은 그렇겠죠? 성서 속 프뉴마는 구약의 바람을 이어 받는 주요한 어휘 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고대하는 프뉴마는 4원소 개념 속 바람이 아니라, 누가가 말한바 엘람바논 프뉴마 하기온에서의 그 프뉴마가 되어야 할 줄로 압니다. 감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