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8명의 독자가 공감하셨습니다 

독사(δόξα, 영광)가 현대 기독교인에게는 최상의 영예로운 영적 상태와 지위를 표명하는 어휘가 되었지만 플라톤(Plato)은 이를 아주 경멸하였다고 한다.

‘견해’ 또는 ‘의견’이라는 뜻을 지닌 이 독사의 개념을 앞서 오늘날의 언론 매체 사설 따위로 예를 들은 바 있다. (각 언론사 사설은 마치 독자적 견해인 것처럼 임하지만 언제나 자기 이념의 권역에서 관철시키고자 하는 노선을 꾀하는 것, 그리하여 마치 독.자.적.인. 진술처럼 임하는 바로 그것이 독사라고 일러두었다.)

플라톤은 폴리스의 허접한 소피스트들이 이런 저질 레토릭을 이용해 시민들을 기만한다고 지적하면서 이런 독사의 행위와 개념을 경멸했던 것이다.

그러나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달랐다.

그는 신체의 감각과 분리된 최고의 정신 단위를 이 독사/δόξα에 두었다. 동물도 인간처럼 상상 할 수 있다. 생각하는 그 능력을 이용해 먹이를 찾아 이동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을 손에 넣으려고 추론까지 한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의 그것들은 모두 신체의 감각이 주도하는 상상과 추론으로 분리 규정하였다.

반면 신체와 아무런 관련 없이 임하는 인간만의 보다 높은 정신 단위, 즉 정신 스스로가 홀로 독자적 판단을(δόξα) 내릴 수 있는 권능을 바로 독사라고 규정함으로써 스승 플라톤의 가르침을 혁파하였다.

다시 말해서 독사는 레토릭 기술 정도로 치부되던 지위로부터 최고의 독자적 정신사고 단위로 격상되기에 이른 것이다.

70인역(Septuagint) 역자들이 구약의 카봇(영광)에 이 단어를 채택해 번역하게 된 전거일 것이다.

※ 연관 글
1. 희랍어 독사(δόξα)가 어떻게 영광(Glory)이 되었나
2. 플라톤이 독사(δόξα, 영광)를 싫어했던 경위에 대해 ◀
3. 쉐카이나와 독사(δόξα)의 관계



YOUNG JIN LEE李榮振 | Rev., Ph. D. in Theology. | Twtr |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주임교수 | 파워바이블 개발자 | 저서: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 (2017), 영혼사용설명서 (2016),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 (2015), 자본적 교회 (2013), 요한복음 파라독스 (2011). 논문: 해체시대의 이후의 새교회 새목회 (2013), 새시대·새교회·새목회의 대상 (2011), 성서신학 방법에 관한 논고 (2011). 번역서: 크리스티안 베커의 하나님의 승리 (2020). | FB | Twtr | 개인블로그

“플라톤이 독사(δόξα, 영광)를 싫어했던 경위에 대해”의 2개의 댓글

  1. 핑백: 희랍어 독사(δόξα)가 어떻게 영광(Glory)이 되었나 | Mi Moon Church (美門)

  2. 핑백: 쉐카이나와 독사(δόξα)의 관계 | Mi Moon Church (美門)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