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2명의 독자가 공감하셨습니다  

종교개혁 503주년이다. ‘서양 종교 기념일이 뭐 그리 중헌디?’ 반감이 앞서는 분 중에는 최근에 기독교인도 꽤 있는 것 같다. 그만큼 사회에 민족주의가 발흥한다는 방증일 것이다. 민족주의가 종교를 압도하는 것은 민족주의가 종교보다 더욱 종교적으로 임하기 때문이다. 토템과 터부 시대로의 복고인 셈이다.

기독교를 포함한 유서 깊은 종교 중 서양에 기원을 둔 종교는 거의 없다. 서양을 경유한 동양 종교들이 있을 뿐이다. 동양의 종교들이 서양에서 토템과 터부를 제거당하고 다시 역류하는 이치다. 이것을 우리가 종교개혁이라 부른다.

특히 개신교는 그 성격 자체가 서지 혁명이기 때문에 개신교가 우리 사회에 처음 경험되었을 때부터 서지(書誌), 즉 글과 기록이라는 체험으로 강타했다. 기독교와 성서가 우리 사회의 문맹률을 현저히 감소시킨 역량은 사회적인 영역이지 종교적인 것이 아니다. 종교개혁은 태생 자체가 종교를 사회가 변혁시킨 사실에 유래한다.

흔히 종교개혁을 떠올리면 마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교회 정문에 A4지 몇장 꽝꽝 못박자 사람들이 촛불 들고 벌떼처럼 일어난 기획 선동인 줄 알지만, 여러 신분의 사람이 이미 저마다 자신의 위치에서 각자의 필요를 절감하여 일어난 점진적이고도 지속적인 혁신 운동이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점진적이고도 지속적인 개혁의 중심에는 바로 구텐베르크라는 인물과 그의 혁신이 자리한다.

종교개혁의 완성이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덕분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종교개혁의 구심축을 언제나 마틴 루터로 지목하는 관행 때문에 구텐베르크는 마치 마틴 루터의 피고용인처럼 연상되지만 종교개혁은 구텐베르크가 죽은 지 50년 뒤에 일어나는 일이다.

다시 말하면 마틴 루터의 비텐베르크 거사는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의 최종 결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교개혁은 서지 혁명이기 때문이다. 이 서지 혁명은 구텐베르크의 생애에 걸쳐 전개되었다.

마인츠 태생인 구텐베르크는 본래 귀족 출신이지만 계급 다툼이 한창이던 시기에 추방당한 아버지를 따라 슈트라스부르크에서 자란 인물이다. 그는 상인 계급으로 거듭났다. 상인 및 수공업 장인 계급의 중흥은 오랜 세월 진행된 십자군 전쟁의 여파이다. 종교개혁을 향하여 세력이 무르익어 가던 시기이다.

구텐베르크가 인쇄기를 디자인할 때는 백지 상태에서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니다. 그의 아버지가 세력 다툼에서 밀려 이주하기 전에 하던 일은 조폐국 금화 찍어내는 일이었다. 금화 생산에 필요한 압착기 기술은 구텐베르크 인쇄기에 있어서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포도주 즙을 짤 때 사용하는 압착기를 변형하여 중량을 늘리고 일종의 나사식 볼트를 고안해 활자판을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정교한 인쇄가 가능하도록 했다.

그렇지만 인쇄는 이런 하드웨어로만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활자 기술이 있어야 한다. 스티브 잡스의 80년대 매킨토쉬 컴퓨터를 반도체 혁명 정도로 아는 사람도 있지만 폰트(서체/활자) 혁신이 핵심이었다는 사실은 구텐베르크의 경우와 같은 것이다. 구텐베르크의 활자판은 각 글자를 그룹으로 묶어 정교하게 절단하도록 만들어진 주형을 통해 생산되었다. 그리고 잉크의 문제도 있었다. 인쇄시 잉크는 더하지도 덜하지지 않게 특히 번지지 않게 도포되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기술이 유성잉크 기술이다. 이러한 인쇄술을 오늘날 옵셋 인쇄라 부른다.

이러한 인쇄 기술은 수도원의 수도사가 하는 일을 대체해버렸다.

종교개혁
구텐베르크의  42-Line Bible이라 불리는 판본

…회원 또는 후원 구독자 회원에게 공개된 콘텐츠입니다. 콘텐츠에 따라 회원가입만으로도 접근 가능한 경우가 있고 후원 구독자로 기한 약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로그인 후 확인하십시오. 콘텐츠 공개 정책 보기.

This content only allowed by Contributors or Subscribers. You are a(n) anonymous. Please be a contributors or sponsor through donation.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