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이란 무엇인가? 해석이란 길을 내서 걷는 일과도 같은 것이다. 나는 유년 시절에 생각하기를 사람이 오랜 세월을 살다보면 이 세상의 모든 길을(심지어 골목길까지) 한번쯤은 반드시 밟고 지나가게 될 것이라 여겼다. 그것이 헛된 망상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쯤 인간은 누구나 매우 한정된 길과 공간을 맴돌다 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언어도 마찬가지이다. 무수히 많은 지식을 접하고 경험하고, 무수한 지식을 재가공해 발화하지만 그 형식이 실은 제한된 길만큼이나 한정되어 있다. 무수히 많은 동사가 있지만 ‘나’, ‘너’, ‘그(들)’ 따위의 한정된 인칭에 막혀 그 동사가 지닌 경험들은 간소화되고 조직화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길처럼 문법에 갇혀있다. 이 갇힌데 길을 내 주는 것이 해석이다.

 

 

예루살렘에 시므온이라 하는 사람이 있으니 이 사람은 의롭고 경건하여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리는 자라 성령이 그 위에 계시더라
그가 주의 그리스도를 보기 전에는 죽지 아니하리라 하는 성령의 지시를 받았더니
성령의 감동으로 성전에 들어가매 마침 부모가 율법의 관례대로 행하고자 하여 그 아기 예수를 데리고 오는지라
시므온이 아기를 안고 하나님을 찬송하여 이르되
주재여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종을 평안히 놓아 주시는도다

 

시므온(Συμεών)이라는 이 고령의 인물 역시 스스로를 갇힌 존재로 인식한 것 같다. (어린) 그리스도를 알현하고는 “이젠 종을 평안히 놓아 주시는도다―” 라는 탄식을 토해내기 때문이다. 어디에 갇혔던 것일까? 누가(Luke)라는 기상천외한 문필가는 이 노인을 제사장 사가랴, 엘리사벳, 목자들, 과부 안나와 더불어 그리스도의 초림을 맞이하는 주요 인물에 넣고 있는데 이들에겐 공통점이 있다. 바로 성전을 중심으로 한 동선에서 맴도는 자들이라는 사실이다. 사가랴는 성전의 깊은 곳에서, 목자들은 (성전으로부터 떨어진) 밖에서, 그리고 시므온과 안나는 ‘성전을 떠나지 못하고 있는’ 바로 그 지점에서 맴돌고 있는 것이다.

1세기의 팔레스틴이라는 제한된 공간에 살았던 유대인의 인구는 학술적으로 약 50-60만 명 정도로 추정하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다. 그 중에 성직자 수는 약 18,000명 정도였다고 전한다(3%). 우리나라의 경우 약 1천만 기독교 인구 중 목회자 수 60,000여명 정도인 현 상황에서도(0.6%) 이 아우성인치는 것을 감안하면, 1세기 팔레스타인의 성직자들이 직면한 상황이 어떠했는지는 가히 상상하고도 남을 법하다. 개교회 중심인 오늘날과는 달리 단일한 성전의 24직무를 중심으로 제의를 수행했던(문지기, 찬양 가수 포함) 그들은 1년에 약 14일간만을 성전 제의에 참여할 수 있었다. 그 나머지 일수는 소수의 계급 사제만이 제의를 담당하고 나머지는 직급의 수준에 따라 생계가 막막한 경우도 비일비재 했다. 동물의 각을 뜨는 신성한 직무의 사제가 실제로 정육점을 운영하고 있었던 사례는 매우 신비감을 떨어뜨리는 것이었지만 그게 그 시절의 현실이었다. 사도행전에 나오는 무상급식 현장에서 초대교회로 투항한 ‘허다한 제사장 무리’란 이들을 말하는 것이다.

…회원 또는 후원 구독자 회원에게 공개된 콘텐츠입니다. 콘텐츠에 따라 회원가입만으로도 접근 가능한 경우가 있고 후원 구독자로 기한 약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로그인 후 확인하십시오. 콘텐츠 공개 정책 보기.

This content only allowed by Contributors or Subscribers. You are a(n) anonymous. Please be a contributors or sponsor through donation.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