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oon

Text에 집중할 수 있는 예배. | the righteousness of God | Since April 8, 2012.

우리는 어떤 음식을 원하는가

프롤로그 | 엥겔지수 엥겔지수란 가계 총지출 가운데 먹는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 경제학 용어다. 저소득층에서는 높게, 고소득 층에서는 낮게 나타나는 법칙을 엥겔(Ernst Engel)이라는 사람이 발견했다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부르게 되었다. 4인 가족 한 가구 소득이 100만원이라 가정했을 때 먹는 비용으로 60만원을 지출했다면 엥겔지수는 60이 되는 셈이다. 이 통계법칙이 발견된 이래 이 계수는 부자와 가난한 자를 가르는 기준이 […]

우리는 어떤 음식을 원하는가 더 보기 »

EGO를 통해 ECO로

프롤로그 | EGO & ECO. 위 일러스트를 이해한 사람은 주로 Eco쪽에 찬사를 돌리는 경향이 있다. 환경을 파괴한 인류가 지닌 Ego(나) 중심 사고를 고발하고 Eco(생태) 중심 사고로의 전환을 촉구하기 때문이다. Lynn White같은 학자는 그리스도인의 그릇된 성경관, 특히 “땅을 정복하라”(창 1:28)는 말을 근거로 그리스도인마저 그 파괴에 앞장섰다고 고발한 바 있다.  그러나 Ego를 그릇되게 이해한 자들이 Eco마저 오해하는 것이다. 환경과 생태란

EGO를 통해 ECO로 더 보기 »

배격하고 거부하고 거절하고

프롤로그 | 사순절 사순절(四旬節, lent, Quadragesima)이란 교회력상 그리스도의 수난을 기념하는 절기를 말한다. 이 기간을 영어로는 Lent라 하는데, 그 어원은 만물의 소생이라는 의미에 있다. 그리스도의 수난을 통해 인류에게 주어진 영원한 생명(요한 3:16)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순 시기는 재를 이마에 바르며 죄를 회개하는 재의 수요일로 시작되며, 부활절 전 40일(사순, 四旬, 6번의 주일은 세지 않는다)의 기간 동안 지킨다. 이날에는 금식 등

배격하고 거부하고 거절하고 더 보기 »

날개 보다도 중요한 것

프롤로그 | 변모, 변형, 변태 변모, 변태, 변형은 모두 겉모습이나 모양이 달라졌다는 뜻에서 그 차이를 분간하기 어려운 어휘지만, 그 중 변태의 는 맵시를 뜻하는 말로 어떤 정지된 형식을 넘어 그 사물이 지닌 불확실한 형상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메타모르포시스(metamorphosis), 즉 예수께서 모세와 엘리야와 산상 대화를 하실 때의 신체 상태를 가장 잘 표현한 단어다.  씨앗이 각종 채소나 열매 나무가 될

날개 보다도 중요한 것 더 보기 »

미래가 드러나는 방식

프롤로그 | 점(占) 사람이 점(占)을 치는 행위는 동서양 구분없이 오랜 것이다. 별자리나 동물의 내장 형태를 보고 알아내는 서양식 점은 B.C.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최근 젊은층에 인기를 끄는 타로카드 점은 아시아에서 서양으로 건너간 것이다. 커피가루 모양으로 보는 서양식 커피 점도 있지만 쌀이나 곡물을 던져 보는 동양식과 유사하다. 그외 어깨뼈, 새소리, 거북 등껍질을 이용한 점도 있으며, 그런

미래가 드러나는 방식 더 보기 »

“자본적 교회”라는 책을 출간했습니다.

이번 달에 제 책 한권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앉은 자리에서 순식간에 읽을 수 있도록 쉽고 짧게 썼습니다. 이영진 지음, 160쪽, 8,000원 1월28일 출간. “누군가로부터 빼앗은 우리 복에 관하여” 포이에르바하가 “하나님이 자신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자신의 형상대로 하나님을 창조하였다”고 하거나 리차드 도킨스가 “만들어진 신”이라고 했을 때 그리스도인이 보일 수 있었던 반응은 대략 두 가지로

“자본적 교회”라는 책을 출간했습니다. 더 보기 »

현재를 드러내는 방식에 관하여

프롤로그 | 백의종군(白衣從軍) 이순신은 역사적으로 두 번의 백의종군을 한다. 선조 20년(1587), 여진족이 침입해 많은 양민을 학살할 때 적은 병력으로 변변한 무기도 없이 맨손으로 싸워 포로 잡힌 60여 명을 되찾았으나, 싸우지도 않고 미리 도망친 직속상관 이일의 모함으로 병영이 와해된 것만 추궁받아 백의종군 하게 되는 것이 그 첫 번째다. 다음은 학익진(포위섬멸 전술 형태)으로 유명한 한산도대첩 후, 원균과의 갈등에서 야기된다.

현재를 드러내는 방식에 관하여 더 보기 »

공평한가.

프롤로그 | 시인(詩人) 송명희 태어날 때 의사가 뇌를 집게로 잘못 건드려 소뇌 장애로 일생을 뇌성마비로 살게 된 송명희씨는 11세에 한글을 홀로 뗀 노력파 모태신앙인이었지만 장애에서 오는 좌절로 17세 때 죽으려 했다. 그러나 하나님을 만나고 죽어야겠다는 결심으로 목숨 걸고 기도하다 회심하게 된다. 자신을 왜 뇌성마비 장애인으로 세상에 나게 했는지 절규하며 하나님을 찾다가 하나님을 만났고, 어둠 속에서 빛을 봤고,

공평한가. 더 보기 »

우리가 믿는 빛의 형식

프롤로그 | 하늘이 파란 이유 태양 빛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로 들어와 공기 중에 퍼지면 공기입자 중 질소나 산소와 충돌하면서 청색으로 사방에 퍼지게 되는데 이 청색은 멀리 날아가지를 못하고 가까운 사방으로만 퍼져나간다. 반면, 비교적 공기입자와 부딪치지 않는 빨강은 공기 속을 지나 멀리 날아 갈 수 있다. 그렇다보니 낮에는 이 태양 빛이 약간만 대기를 통과하여도 우리 눈에 들어

우리가 믿는 빛의 형식 더 보기 »

그리스도의 냉담한 이미지에 관하여

우리가 두려워 하는 것은 “처해있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죽음 앞에 처할 때 가장 큰 두려움을 자아내는 것같지만, 실상은 삶(살아 있다는 사실) 앞에서 더 큰 두려움을 드러냅니다. 이것이 “처해있음”의 실체인데, 이로써 우리가 이 땅의 태생이 아님을 압니다. 그리스도가 처했던 냉담함도 이와 같았을 것입니다. 프롤로그 | 도마가 쓴 그리스도의 유년기 복음 그리스도는 어떻게 자라셨을까? 친구들과는 어떻게 지내셨을까? 우리의 유년시절처럼 뛰놀기도

그리스도의 냉담한 이미지에 관하여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