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oon

Text에 집중할 수 있는 예배. | the righteousness of God | Since April 8, 2012.

욥기 33장 23절, ‘해석자’인가 ‘중보자’인가.

욥기 33:23에 나오는 <해석자>라는 말이 개정판에서는 <중보자>로 바뀌었는데 어느것이 맞느냐는 질의에 대한 견해. 이 본문이다. “만일 일천 천사 가운데 하나가 그 사람의 <해석자>로 함께 있어서 그 정당히 행할 것을 보일찐대” – 개역 “만일 일천 천사 가운데 하나가 그 사람의 <중보자>로 함께 있어서 그의 정당함을 보일진대” – 개역개정 여기서 <중보자>로 번역된 멜리쯔(מֵלִ֗יץ)는 ‘조롱하다’라는 동사 루쯔(לוּץ)의 히필형 […]

욥기 33장 23절, ‘해석자’인가 ‘중보자’인가. 더 보기 »

[성서 그리스어 기초] 문자의 기원과 확산

성경 그리스어 기초 첫 강 문자의 기원과 확산에 관하여 이번 학기에는 강의이다. 오프라인 수업 보충용인데, 지난 학기 처럼 공유하겠다. 첫 강이므로, 그리스어를 포함한 고대어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견해를 좀 밝혔다. (※ 나는 「총균쇠」의 저자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이론을 주목하는 편이다.) 성서 헬라어 – 문자의 기원과 확산 from 미문(美門) on Vimeo.

[성서 그리스어 기초] 문자의 기원과 확산 더 보기 »

[동영상🎥-히브리어 기초 5] 대명사

대명사를 잘 익히면 히브리어의 절반은 완성하는 셈입니다. 대명사에서 중요한 것은 ‘인칭대명사 접미사’ 활용을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씀 미리드립니다. 이 접미사를 활용하여 한 단어로써 명사의 소유격, 전치사의 목적어, 동사의 주어 및 목적어까지 해결하기 때문입니다. 명사는 이름이 있는 사물/사람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대명사는 그 명사를 대신하는 말이며, 대명사 중에는 ‘인칭 대명사’(나, 너, 그/녀), ‘지시 대명사’(이것, 저것), ‘관계대명사’

[동영상🎥-히브리어 기초 5] 대명사 더 보기 »

이승만 타임지 커버 스토리(walnut)─정전협정 4개월전

이승만 대통령이 TIME지 커버 스토리에 실린 것은 총 2회이다. 한 번은 1950년 10월 16일 그러니까 6·25가 터진 뒤 3개월 후. 그리고 또 한 번은 1953년 3월 9일, 즉 정전협정 4달 앞두고서이다. 전편은 앞서 번역을 해두었는고(전편 읽기), 속편은 시간이 없어 미루고 있다 이제 올린다. 같은 기자가 쓴 것이다. 1) 지금 우리 상황을 예언처럼 진술하고 있다.2) 자유주의

이승만 타임지 커버 스토리(walnut)─정전협정 4개월전 더 보기 »

‘탈북자 송환 요구’에 기독교는 왜 궐기하지 않는가

탈출은 기독교 패러다임의 근간이다. BC 15세기 이집트 천민이었던 히브리 민족의 탈출기는 유대교와 기독교 신앙의 원형이 되었다. 그로부터 1천여 년이 흐른 BC 586년 남 유다의 멸망 이후, 바벨론에서 무려 70년간이나 뿌리를 내린 유다 민족이 3차에 걸친 본토로의 이주를 탈출로 이해한 것은 그들이 사실상 이집트 탈출기의 편찬자인 동시에 독자였던 까닭이다. 이들이 탈출하면서 가졌던 은밀한 식탁 연회는 유월절이라는

‘탈북자 송환 요구’에 기독교는 왜 궐기하지 않는가 더 보기 »

성서에 나오는 여섯 ‘인피니티 스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서 소재로 삼은 여섯 개의 신성한 돌에 담긴 모티프가 흥미롭다. 돌들을 ‘공간’(Space), ‘정신’(Mind), ‘실재’(Reality), ‘힘’(Power), ‘시간’(Time), ‘영혼’(Soul)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전통적인 4원소(물, 불, 바람, 흙)와 비교했을 때 이 6원소를 비물질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4원소는 비록 물질이지만 정신성을 내재한 요소로 보는 것이 전통적 개념임을 감안할 때, 물․불․바람․흙과 겹치지 않도록 따로 구성해서 정신성으로 분류한 것은 흥미로운

성서에 나오는 여섯 ‘인피니티 스톤’ 더 보기 »

[동영상🎥-히브리어 기초 4]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기능을 합니다.‘좋은 남자’라고 했을 때, ‘사람’은 명사이고 ‘좋은’이 형용사입니다.‘나쁜 여자’라고 했을 때, ‘여자’는 명사이고 ‘나쁜’은 형용사입니다. 히브리어에서의 형용사 쓰임새는 다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좋은 남자’, ‘남자는 좋다’로 둘 다 번역이 가능한 경우입니다. 가령 אִישׁ טוֹב라 했을때 טוֹב(토브)는 형용사 ‘좋은’이고, אִישׁ(이쉬)는 명사인 ‘남자’입니다. 이런 경우 심플하게 ‘좋은 남자’, ‘남자는 좋다’ 둘 다

[동영상🎥-히브리어 기초 4] 형용사 더 보기 »

김진호著, 「권력과 교회」 비판

이 책은 이명박·박근혜 정권 당시의 기독교를 속칭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사미자’(사랑의교회/미래를경영하는연구자모임)로 규정하고 국회 원내의 높은 개신교 비율과 사회 정의 간의 괴리감으로 서론을 시작한다. 이와 같은 세속적 통계를 개신교와 권력의 유착 관계로 특정하고 그 뿌리와 핵심 기반을 20세기 초 서북인들의 출신 성분과 그들의 이주 동선에서 찾아 유래로 제시한다. 그러고는 궁극적으로 한국교회에서 ‘선한 목자’로 통칭되는 개신교의 교조적 핵심 인물(들)의

김진호著, 「권력과 교회」 비판 더 보기 »

한국 개신교는 부활의 종교인가?

개혁의 이름으로 자행된 총신대 사태, 사랑의 교회를 향한 집요한 공격, 동성애 합법화를 위해 평등으로 위장하고 들어오는 성(性) 관념들, 이념에 오염된 그릇된 토지 사상. 교회를 향한 이러한 도전들은 믿음의 이름으로 자행되고 있지만, “하나님 나라는 죽어서 가는 곳이 아니다”라는 저 확신만큼이나 의심으로 얼룩진 한국 개신교의 자화상을 반영한다. 과연 한국 개신교는 부활의 종교인가? (죽지도 않고 부활하겠단 소리로 들려

한국 개신교는 부활의 종교인가?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