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행> 전염병을 통한 사회 통제
영화 <부산행>은 개봉 당시 ‘좀비’라는 가상의 존재를 심층적으로 다룬 첫 국산 블록 버스터로 화제를 모았다. 특히 전염병의 발생과 전개 과정에서 야기되는 사회 문제를 꽤 의미 있게 다룬 영화였다. 이 글은 서구에서 전래해 들어와 우리에게도 일반화 된 용어, ‘좀비’의 역사적 기원에 관해 소개한 글이지만, 지금 이 시각 현재 우한 폐렴이라는 전염병 감염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태 […]
영화 <부산행>은 개봉 당시 ‘좀비’라는 가상의 존재를 심층적으로 다룬 첫 국산 블록 버스터로 화제를 모았다. 특히 전염병의 발생과 전개 과정에서 야기되는 사회 문제를 꽤 의미 있게 다룬 영화였다. 이 글은 서구에서 전래해 들어와 우리에게도 일반화 된 용어, ‘좀비’의 역사적 기원에 관해 소개한 글이지만, 지금 이 시각 현재 우한 폐렴이라는 전염병 감염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태 […]
제가 만든 이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 상에서 아래와 같이 저자 프로필 박스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때 활용하는 플러그인입니다. 무료로 배포임. 만약 글마다 매번 프로필을 기입한다면(html까지 섞어가며) 번거롭고, 무엇보다 저자 프로필 정보가 업데이트 되었을 때 이미 작성된 글에 들어가 일일이 다 수정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게다가 가끔 디자인도 바꾸고 싶을 겁니다) 포스팅 콘텐츠가 수 십~ 수 백개일 때는
유감스럽게도 이 글은 세계에서도 인정받은 영화 <기생충>을 다시 한번 비판한 글이다. (이전 비평 참조: ‘기생충’ 같은 영화 <기생충>) 오스카 상을 받았어도 기생충은 기생충이기 때문이다. 문득 오스카 상을 받은 역대 수상작 가운데 생물을 모티프로 만든 작시가 무엇이 있을까 떠올려 봤다. 곰을 모티프로 하여 작시한 <레버넌트>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침 흘리는 과장된 연기에도 불구하고 곰이라는 짐승이 갖는 웅장한
조커의 기원 중국의 노름인 마작은 수·글자·식물로 된 류(類)로 구성되어 있고, 일본의 노름은 여러 류의 꽃이 주된 구성이다. 우리나라 화투는 이 일본 노름인 하나후다(はなふだ)를 들여온 것이며 ‘꽃-싸움’을 뜻하는 화투(花鬪)란 말도 꽃패라는 뜻인 하나후다(花札)에서 유래하였다. 마작은 기본적인 류에서 다른 조합의 류로 먼저 재구성해 승리를 점하는 놀이인 반면, 화투는 1월, 2월, 3월… 12개월의 상징인 ‘화패’가 ‘수패’로 조합되어 승리를
‘우한 폐렴’이라 불리는 돌림병이 전 세계를 덮치고 있다. ‘우한’은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市)를 일컫는 말이다. 여기서 발병한 것으로 알려진 역병이 우리나라에서도 1월 26일 현재 세 번째 확진 환자가 나온 상태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한 메시지에서 “정부를 믿고 과도한 불안을 자제”해달라 당부한 가운데, 국민 여론은 못 미더워 하며 중국에서 오는 입국자들을 전면 봉쇄하라는 요구까지 빗발치고 있다. 정부가
‘우한 폐렴’과 ‘친중반미’라는 역병(疫病) 더 보기 »
기생충이 지난 해 5월 25일에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이래 지난 1월 6일자에 골든 글로브상에서 최우수 외국어영화상을 또 수상했기에 이 영화에 관해 몇 자 요약해 남긴다. 우선 이 영화는 자본에 대한 극한 혐오를 내용으로 안고 있지만 그 누구보다 자본을 과시하는 영화다. 처음 개봉 당시 칸 영화제 수상일자가 5월 25일인데, 국내 개봉은 5월 30일이다. 상 받은
진격의 거인―대한민국 퇴행에 관한 소고. 이 글은 일본 만화 <진격의 거인>에 담긴 기호와 해석을 다룬 글이다. 더 정확히는 <진격의 거인>을 통해서 보는 현대인의 섭식 행태, 그리고 그것이 미치는 사회 현상에 관한 담론이다. 다음 네 단계로 정리하였다. 첫째, 만화인가 서사인가, ‘진격의 거인’. 둘째, 오락인가 본성인가 ‘먹방’. 셋째 식인인가 섭식인가, ‘카니발리즘’. 넷째, 작물화인가 가축화인가, ‘민주주의’. 만화인가 서사인가,
지구가 평평하다는 걸 신앙고백처럼 여기는 기독교인이 있다는 사실을 근래에 알게 되었다. 뭔소리들인가 했더니… 이런 것을 신앙 주제로 신봉하고 전파하는 분은 과학 논쟁 이전에 심리상담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신앙과 아무 관련없는 초등학문적 불신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불신이 미신화 된 전형이다. (맹신만 미신을 일으키는 게 아니다) 물론 지구 평평설이 전혀 근거 없는 낭설만은 아니다. 오늘날 정설로 자리잡은 지동설도
가령, 이제…결코 정죄함이 없나니…(롬 8:1) ㅡ라고 하였을 때 이는 성화(sanctification)의 본문인가? 칭의(Justification)의 본문인가? 칭의와 성화가 분리된 성서적 근거는? (강요[Institutio] 말고…로마서 중심) 그러면 성화(ἁγιάζω)는 완성된 것인가? 미완성된 것인가? 엄밀한 의미에서 칭의와 성화는 단일한 것이다. 다음의 개요를 유념할 것이다. 1. 기독교인의 구원은 ‘천당(行)’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속성의 변화이다. 2. 적어도 로마서에 따르면 인간은 단 한 번(ἐφάπαξ)의 변화로 그
예정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지나치게 ‘예정’에 민감한 이유는 예정을 일종의 ‘점지하는’(산신령과 부처님이 정해줬다) 행위로 오해하는 까닭일 것입니다. 가령, “모든 일을 그의 뜻의 결정대로 일하시는 이의 계획을 따라 우리가 예정을 입어 그 안에서 기업이 되었으니ㅡ” ㅡ라 하였을 때, 우리를 장악하는 것은 예정만이 아닙니다. 뜻, 계획, 예정. 이 셋이 우리를 장악합니다. 여기에 서열을 정하면, 2) 뜻, 1)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