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신학

가룟유다는 택함 받은 제자인가?

    이 글은 요한복음에서 엿볼 수 있는 (구원에 관한) 예정론 문제를 간략하게 개진한 글이다. 우선 다음 문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내가 너희 열둘을 택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러나 너희 중의 한 사람은 마귀니라” ㅡ요 6:70. 예수님이 하신 말씀인 이 문장은 ‘주님은 마귀도 택하시는가?’ 라는 당혹스런 문제를 안겨주는 문장이다. 위 개역개정은 의역이 된 편이지만 본래는 아래와 같은 […]

가룟유다는 택함 받은 제자인가? 더 보기 »

성철의 “사단이여!”에 대한 기독교관(觀)

  ※ 이 글은 교의적인 글이 아님을 밝혀둔다. 기독교는 ‘복음주의’라는 명칭으로 순화되기는 했지만 어느 정도 원리주의(fundamentalism) 성향이 내재된 교의 종교이기에 타 종교 또는 비 기독교인과 소통할 때면 언제나 상대를 ‘지옥 갈 대상’으로 전제하기 마련이다. 이런 전제가 기독교 내에서는 문제될 것이 없지만, 이웃을 사마리아 대하듯 하는 태도로 표출될 때에는 기독교 ‘원리’에 심각한 손상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우리나라

성철의 “사단이여!”에 대한 기독교관(觀) 더 보기 »

다윗의 홍안(ruddy)에 관하여

 이 글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않으신다고 했지만, ‘붉은 빛 아름다운’(삼상 16:12) 다윗을 (외모로) 선택하시는 모순된 장면에 관해 풀어 놓은 글이다.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말라”는 말은 사무엘이 사울을 대신할 ‘새 왕’을 캐스팅하러 갔을 때에 나온다. 사실 사무엘은 첫 눈에 다윗의 큰 형 엘리압을 낙점했다. 사무엘이 엘리압을 보고 마음에 이르기를 여호와의 기름 부으실 자가 과연 주님

다윗의 홍안(ruddy)에 관하여 더 보기 »

바울과 동성애

    이 글은 동성애를 용인하고 묵인하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쓴 글이다. 동성애 합법화의 저지선은 대개 관습적, 생물의학적, 심리학적, 법학적, 신학적 단계로 형성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했던 심리학적 저지선이 무너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각종 친 동성애 법안 개정과 발효에(동성애 결혼법, 차별금지법 등) 가속도가 붙은 상태가 되었다. 그렇다면 이제 마지막 저지선은 교회와 신학일 텐데, 도리어 일부 목회자와

바울과 동성애 더 보기 »

칼 바르트의 하박국 2장 4절 주석

    칼 바르트의 ‘로마서 주석’(1919년)은 기독교 역사를 바꾼 30대 사건 중에 하나로 꼽을 정도로 센세이셔널 한 저서이다. 칼 바르트를 세상에 알린 이 책은 한 마디로 ‘초월적 하나님’ 앞에서의 ‘유한한 인간’인 자신의 고백이기도 했는데, 그것은 아마도 그 자신이 스위스의 초라한 탄광촌 사펜빌(Safenwil)에서 전혀 존재감 없던 목사였던 까닭일 것이다. 20세기 초 유럽이 ‘하나님의 초월하심’을 잊어버렸을때, 칼 바르트의

칼 바르트의 하박국 2장 4절 주석 더 보기 »

성경의 괴물 ‘리워야단’과 홉스의 ‘리바이어던’

성경의 괴물 ‘리워야단’과 홉스의 ‘리바이어던’─이 글은 홉스의 책 <리바이어던>에 관한 테마로 교회와 국가란 무엇인가에 대한 모티프를 제공하기 위해 쓰였지만 성경에 나타난 어떤 상징을 오늘날의 의미로 가져오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그것은 300년도 더 된 이 책이 담은 이해를 통해 성경에 등장하는 그 악의 상징을 오늘날 어떻게 가져와야 하는지 그 방법을 고찰하였다. (1) 홉스의

성경의 괴물 ‘리워야단’과 홉스의 ‘리바이어던’ 더 보기 »

쉐카이나와 독사(δόξα)의 관계

 결론적으로 70인역(Septuagint) 번역자들이 이 독자적 정신성 단위 ‘독사’를 구약의 가봇(영광)에 대한 대응어로 채택해 온 궁극적 근거는 그것이 어떠한 물리적 사물에 의존하지 않고도 ‘거주’(shekinah) 할 수 있는 가장 우월한 정신 입자를 설명하기에 용이한 개념어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쉐카이나가 존재의 양식이라면 독사는 일종의 그 존재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 연관글1. 희랍어 독사(δόξα)가 어떻게 영광(Glory)이 되었나2. 플라톤이 독사(δόξα, 영광)를 싫어했던 경위에

쉐카이나와 독사(δόξα)의 관계 더 보기 »

플라톤이 독사(δόξα, 영광)를 싫어했던 경위에 대해

독사(δόξα, 영광)가 현대 기독교인에게는 최상의 영예로운 영적 상태와 지위를 표명하는 어휘가 되었지만 플라톤(Plato)은 이를 아주 경멸하였다고 한다. ‘견해’ 또는 ‘의견’이라는 뜻을 지닌 이 독사의 개념을 앞서 오늘날의 언론 매체 사설 따위로 예를 들은 바 있다. (각 언론사 사설은 마치 독자적 견해인 것처럼 임하지만 언제나 자기 이념의 권역에서 관철시키고자 하는 노선을 꾀하는 것, 그리하여 마치 독.자.적.인.

플라톤이 독사(δόξα, 영광)를 싫어했던 경위에 대해 더 보기 »

희랍어 독사(δόξα)가 어떻게 영광(Glory)이 되었나

 기독교인이 의미심장하게 사용하는 용어 ‘영광’을 희랍어로 독사(δόξα)라고 한다. 그러나 이 δόξα는 본래 기독교에서 통용되는 의미로서의 ‘영광’으로는 용례의 빈도수가 낮은 용어였다. 그 쓰임새가 주로 opinion 즉 ‘견해’라는 의미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독사’가 영광(Glory)으로 전용되기까지는 셉투아진트 번역자들의 공헌이 크다. 그들이 희브리어 카봇(כָּבוֹד‎, 영광)을 독사로 번역해놓은 까닭이다. 그들은 왜 ‘카봇’을 독사로 번역했을까. 아마도 그것은 ‘독사’가 기대함으로 (바라)본다!는 뜻을

희랍어 독사(δόξα)가 어떻게 영광(Glory)이 되었나 더 보기 »

정의의 팔뚝상(像)

  천안 한 법정 앞에 세워진 정의의 상이다. 팔뚝상 정의(Justice)의 심볼로 세워진 동상은 대개가 여신상인데 이 동상은 기이하다. 여신은커녕 상반신·하반신도 없고 팔뚝만 있다. 게다가 이상한 말이 적혀 있다. “하늘이 무너져도 이 땅에는 정의를(???)”. 솟아날 구멍이 우리나라에서는 대법원을 포함, 주로 법정 앞에 정의의 여신상이 세워져 있지만 유럽에서는 교회, 학교에서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띄는 심볼이다. 이 여신의 이름은

정의의 팔뚝상(像)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