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oon

Text에 집중할 수 있는 예배. | the righteousness of God | Since April 8, 2012.

기독교 십계명과 불교 십계명(십중계) 차이 알아두기

이글은 기독교 계명이 다른 계명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약술한 글이다. 보편성 계명이나 계율이 기독교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선 불교에도 기독교의 십계명과 꽤 흡사한 십중계(十重戒)라는 것이 있다. 유교에서 비롯된 충·효·예의 경우는 내세(來世)가 있는 강제 법령은 아니나 우리 사회 통념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 역시 계명의 요소를 띠고 있다 하겠다. 특히 불교의 십중계는 위 표에서 보다시피 기독교의 […]

기독교 십계명과 불교 십계명(십중계) 차이 알아두기 더 보기 »

모세의 놋뱀은 가나안 컬트(cult) 인가?

 이 글은 민수기에 나오는 놋뱀이 모세가 수용한 가나안 컬트인가? 아닌가? 아니라면 왜 아닌지에 대해 논한 글이다. 불뱀 민수기 21장은 이스라엘의 원망과 불평으로 많은 사람이 불 뱀에 물려 죽게 되자 모세에게 구조를 요청했고, 하나님께서 ‘불 뱀’을 만들어 나무에 달아 그것을 쳐다보게 함으로써 해독의 방도를 주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때 모세가 만들어 매단 것이 ‘놋뱀’이다. 불 뱀이라고

모세의 놋뱀은 가나안 컬트(cult) 인가? 더 보기 »

네타냐후의 깡다구 넘치는 연설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가 美 의회에서 연설을 한 내용 중에 깡다구 넘치는 게 있어 급히 허접 번역 우리는 고대로부터 있어왔던 사람들이다. 근 4000년 역사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우리 유대인들을 지속적으로 제거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오늘 밤은 유대인의 절기인 부림절로 우리 유대인은 에스더의 책을 읽는다. 우리는 약 2500년 전 유대인들을 제거하려고 음모를 꾸몄던 하만이라 불리는 강력한

네타냐후의 깡다구 넘치는 연설 더 보기 »

칭의의 기원

    아브라함의 계약은 단번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적어도 아래와 같이 5단계 이상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것은 여러 가지 계약을 맺었다는 뜻이 아니라 단일 계약에 대한 아브라함의 상대적 시행착오를 의미한다고 앞서 일러두었다. 아래 그림에서 우측의 주황색은 그 계약의 단계별 변형을 – 즉 암시로부터 점점 베일을 벗는 – 추적할 수 있다.

칭의의 기원 더 보기 »

노아 계약이 지닌 성질

  가인의 족보에서 마지막 후손은 두발가인으로 6번째 후손이다. 완전수 7번째 후손이 그의 족보엔 없다. 반면 죽은 아벨을 대신한 셋의 족보에서는 7번째 후손 라멕을 지나 8대손 노아까지 이어지는 동안 6번째 후손인 므두셀라가 계속 따라붙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가 마지막 종말의 순간까지 죽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노아의 할아버지 므두셀라는 아벨/셋으로부터는 6번째 후손이지만 아담으로부터는 7번째 완전수를 채우는

노아 계약이 지닌 성질 더 보기 »

순교자 21명 곱틱 기독교도는 이단인가

    이번에 ISIS에 의해 이집트 기독교인 21명이 참수되는 것을 보며 문득, 만약에 우리나라의 통일교 교도, 신천지 교도들이 이슬람에 의해 집단 살해를 당하면 어떤 반응이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우리나라 기독교인들. 아니, 2007년 7월 분당샘물교회 아프카니스탄 피랍 사태 당시의 반응을 생각해보면 다른 경우이긴 하지만 능히 짐작은 할 만하다. 비 기독교인의 경우 탈레반보다는 선교여행을 간 그들을

순교자 21명 곱틱 기독교도는 이단인가 더 보기 »

‘고문기술자’ 이근안 목사가 받았던 변화

    이 글을 읽기 전에 나는 이념적으로는 거의 극우에 가깝다는 사실을 일러둘 필요가 있다. 오늘은 본의 아니게 우리에게 ‘고문기술자’로 더 잘 알려진 이근안 전 목사에 대해 언급하였다. 성서일과 주제가 ‘변화’였기 때문이다. 특히, 파문당한 그는 변화를 받긴 했던 것인가? 변화 받았는데 다시 돌아간 것인가? 아니면 아예 변화를 받지 않았던 것인가? 하는 문제는 이근안만이 아닌 우리

‘고문기술자’ 이근안 목사가 받았던 변화 더 보기 »

기독교는 왜 전도해도 줄어들어

차별금지법은 좋은 법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고 있어 절대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기독교인이 차별금지법의 저항력을 완화하려면 차별을 하지 않으면 된다. 예를들어 무슬림에게 전도를 하면 그가 모욕으로 느끼는 것은, 기독교인에게 이슬람교를 전도했을 때 모독으로 느끼는 것에 상응한 것이다. 자기는 모독으로 느끼면서도 무슬림 개체만 싸가지 없는 악한 놈으로 간주한다면 본질상 차별일 것이다. 그들 권역 밖에 살면서 무슬림을 싸가지 없는

기독교는 왜 전도해도 줄어들어 더 보기 »

오르가즈 백작의 매장은 전쟁화(battle-piece)

 <오르가즈 백작의 매장>은 스페인 르네상스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진 작품이니 만큼 많은 해석이 있지만 이 도상(圖像)에 대해 몇 가지 추가해 둘 나의 해석이 있다. (1) 14세기 실존 인물의 매장을 16세기 버전으로 대개 이 작품은 14세기의 실존 인물이었던 곤살로 루이스라는 본명을 가진 오르가즈 백작의 매장을 재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이 그려진 시기는 16세기(1588년)였기 때문이다. 가스띠야 왕국의

오르가즈 백작의 매장은 전쟁화(battle-piece) 더 보기 »

예수를 퇴마사로 전락시키는 교훈

  지난주 본의 아니게 귀신 쫓는 행위를 격하시키고 보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어마어마한 능력 행하는 분들이 지금 여기 오셔서 능력을 행하며 우릴 들었다 놨다 은혜를 끼친다면 어떻게 될까? 앞서 모든 논지는 일시에 무위로 돌아가고 말 것만 같다. 그렇지만 시간이 흘러 종국에 혹시 그 능력 행하던 분들이 아나니아와 삽비라였다는 사실이 발각된다면? 그때 이 논지는 여전히 유효할

예수를 퇴마사로 전락시키는 교훈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