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신학

“말씀과 신앙은 철학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목회자는 대개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골 2:8)라는 바울의 말을 동원하기 마련이지만, 아무렴 바울의 글만큼 철학적인 게 또 있을까. 신학을 듣고서도 철학이라 말하는 목회자는 신학조차 빈곤하기 마련이다. 본래 철학은 신학에서 유출되었다.

일흔일곱 번(77) 용서해야 하나, 일흔 번씩 일곱 번(490) 용서해야 하나

설교 철학적신학
이 글은 희년의 본질을 밝히는 글이다. 부활절의 성립은 유월절에 근간을 두고 있지만, 궁극적 실천은 희년(禧年)에 뿌리를 두고 있다. [희년의 범주와…
Read More

예수님은 왜 유교병(아르토스)을 사용했나?

설교 철학적신학
    성만찬의 제정은 부활절과 직결되어 있다. 예수님이 고난과 죽음으로 들어가기 전 마지막 식사가 곧 성만찬으로서, 기독교 예전의 총아가 되었기…
Read More
사탄의 기원

사탄의 기원

철학적신학
이글은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을 관통하는 사탄의 기원에 관한 글이다. 그러나 이것은 기독교 세계관과 기독교 바깥 세계관을 이어주기 위한 문학적 상징의 해석학적…
Read More

칭의―‘새 관점’으로 둔갑한 ‘헌 관점’

교회와신앙 설교 철학적신학
    이 글은 대부분의 칭의 논쟁에 있어 일체 간과되어 버린 전제 요소들(이를테면 히브리서 Πίστις의 배경)을 요약한 글이다. 우선 다음…
Read More
강의로 들어본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

강의로 들어본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

서평 철학적신학
    홍성사 회보에 실린《철학과 신학의 몽타주》서평 하나를 소개합니다. 이 서평은 《철학과 신학의 몽타주》를 강의로 직접 들었던 학생의 서평이기도 합니다….
Read More

가룟유다는 택함 받은 제자인가?

설교 철학적신학
    이 글은 요한복음에서 엿볼 수 있는 (구원에 관한) 예정론 문제를 간략하게 개진한 글이다. 우선 다음 문장을 검토할 필요가…
Read More

성철의 “사단이여!”에 대한 기독교관(觀)

설교 철학적신학
  ※ 이 글은 교의적인 글이 아님을 밝혀둔다. 기독교는 ‘복음주의’라는 명칭으로 순화되기는 했지만 어느 정도 원리주의(fundamentalism) 성향이 내재된 교의 종교이기에 타…
Read More

다윗의 홍안(ruddy)에 관하여

설교 철학적신학
 이 글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않으신다고 했지만, ‘붉은 빛 아름다운’(삼상 16:12) 다윗을 (외모로) 선택하시는 모순된 장면에 관해 풀어 놓은…
Read More
바울과 동성애

바울과 동성애

시사 철학적신학
    이 글은 동성애를 용인하고 묵인하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쓴 글이다. 동성애 합법화의 저지선은 대개 관습적, 생물의학적, 심리학적, 법학적, 신학적…
Read More

칼 바르트의 하박국 2장 4절 주석

철학적신학
    칼 바르트의 ‘로마서 주석’(1919년)은 기독교 역사를 바꾼 30대 사건 중에 하나로 꼽을 정도로 센세이셔널 한 저서이다. 칼 바르트를…
Read More

성경의 괴물 ‘리워야단’과 홉스의 ‘리바이어던’

철학적신학
성경의 괴물 ‘리워야단’과 홉스의 ‘리바이어던’─이 글은 홉스의 책 <리바이어던>에 관한 테마로 교회와 국가란 무엇인가에 대한 모티프를 제공하기 위해 쓰였지만 성경에…
Read More

쉐카이나와 독사(δόξα)의 관계

철학적신학
 결론적으로 70인역(Septuagint) 번역자들이 이 독자적 정신성 단위 ‘독사’를 구약의 가봇(영광)에 대한 대응어로 채택해 온 궁극적 근거는 그것이 어떠한 물리적 사물에 의존하지 않고도…
Read More

플라톤이 독사(δόξα, 영광)를 싫어했던 경위에 대해

철학적신학
독사(δόξα, 영광)가 현대 기독교인에게는 최상의 영예로운 영적 상태와 지위를 표명하는 어휘가 되었지만 플라톤(Plato)은 이를 아주 경멸하였다고 한다. ‘견해’ 또는 ‘의견’이라는…
Read More

희랍어 독사(δόξα)가 어떻게 영광(Glory)이 되었나

철학적신학
 기독교인이 의미심장하게 사용하는 용어 ‘영광’을 희랍어로 독사(δόξα)라고 한다. 그러나 이 δόξα는 본래 기독교에서 통용되는 의미로서의 ‘영광’으로는 용례의 빈도수가 낮은 용어였다….
Read More

정의의 팔뚝상(像)

시사 철학적신학
  천안 한 법정 앞에 세워진 정의의 상이다. 팔뚝상 정의(Justice)의 심볼로 세워진 동상은 대개가 여신상인데 이 동상은 기이하다. 여신은커녕 상반신·하반신도 없고…
Read More
1 2 3 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