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설립 이후 줄곧 ‘성서일과’로 설교해왔습니다. 주제 설교를 지양하기 위해서입니다. 주제 설교가 나쁜 건 아니지만 설교자 개인이 주제를 선정할 때 그것은 원천적으로 자의적입니다.
성서일과─반복되는 본문으로 설교하는 법
성서일과(lectionary)는 3년을 주기로 회전한다. 3년 주기로 같은 성경 본문을 마주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 글은 그처럼 반복되는 본문으로 설교를 구성하는 방법적…
Read More
성서일과─매주 본문 정하는 방법
미문(美門)을 설립 이후 줄곧 ‘성서일과’를 본문으로 설교하고 있다. 성서일과에 관심을 안 가져본 기독교인이라면 목회자일지라도 그 명칭이 생소할 것이다. 그러나 설교…
Read More
‘나는 참 포도나무’ 본문의 구조
이글은 요한복음 15장 1-8절에 관한 해제이다. 우리는 흔히 “예수님은 포도나무요, 우리는 가지…” 하면 으레 당연한 관계 정도로 지나치지만…
Read More
기독교 부활과 조로아스터교 부활 구분법
이 글은 기독교 부활이 유대교와의 정통성을 유지하면서도 그외 이교도 부활과는 차별화 된 정통성에 대해 약술한 글이다. (1) 내세…
Read More
예수 부활과 요셉 톨레도트(Toledot/ תּוֹלְדֹת)
이 글은 예수의 부활 이미지가 지나친 군주상(像)으로 편중된 이해를 바로잡고자 작성한 글이다. 예수의 파스카는 중세교회를 거치면서 강력한 군주의 귀환…
Read More
기독교 십계명과 불교 십계명(십중계) 차이 알아두기
이글은 기독교 계명이 다른 계명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약술한 글이다. 보편성 계명이나 계율이 기독교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선 불교에도 기독교의 십계명과…
Read More
모세의 놋뱀은 가나안 컬트(cult) 인가?
이 글은 민수기에 나오는 놋뱀이 모세가 수용한 가나안 컬트인가? 아닌가? 아니라면 왜 아닌지에 대해 논한 글이다. The Brazen Serpent, by…
Read More
노아 계약이 지닌 성질
가인의 족보에서 마지막 후손은 두발가인으로 6번째 후손이다. 완전수 7번째 후손이 그의 족보엔 없다. 반면 죽은 아벨을 대신한 셋의 족보에서는…
Read More
‘고문기술자’ 이근안 목사가 받았던 변화
이 글을 읽기 전에 나는 이념적으로는 거의 극우에 가깝다는 사실을 일러둘 필요가 있다. 오늘은 본의 아니게 우리에게 ‘고문기술자’로…
Read More
예수를 퇴마사로 전락시키는 교훈
지난주 본의 아니게 귀신 쫓는 행위를 격하시키고 보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어마어마한 능력 행하는 분들이 지금 여기 오셔서 능력을…
Read More
권세(권위) 있는 새 교훈으로 흔히 범하는 오류
귀신 쫓는 장면이 금주 성서일과 본문이다. 요즘도 많이들 쫓나 모르겠다. 예수님의 축귀는 상징인가 실재인가? 자의든 타의든 요즘의 교회는…
Read More
다 쓰지 못하는 자 같이
유년기에 이런 생각에 잠기곤 했다. ‘내가 살아있는 동안 우리나라 온 동네 구석구석을 언젠가는 빠짐없이 다 밟겠지…?’ 지형이나 지리에 대한 공간…
Read More
종말의 주제는「휴거, 바코드, 베리칩」이 아니라「공의」이다.
이글은 한 2년 전 쯤 “휴거, 베리칩, 바른 종말론”이라는 제목으로 작성했던 글인데, 현재는 “종말의 주제는「휴거,바코드,베리칩」이 아니라,「공의」이다”로 더 알려진…
Read More